본문 바로가기

2020년 추천 도서(20.3~21.2)

10월의 추천도서(2780) 어디에 있든 나는 나답게

1. 책소개

한국과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한 모험가의
열정 넘치고 재미있는 고백담

여기 잘 나가는 일본의 신문사 기자직을 때려치우고 혈혈단신 한국으로 건너온 한 사람이 있다. 바로 아사히신문 기자 출신 저널리스트 나리카와 아야(成川 彩)다. 그녀가 아사히신문을 그만둔 것은 한국과 한국 영화에 대한 애정 그리고 관심 때문이었다. 9년 넘게 아사히신문 기자로 일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써온 그녀는 “좋아하는 한국 영화를 마음껏 보고 배우기 위해” 과감하게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뒀다. 그리고 동국대학 영화영상학과 석사 과정에 입학해 ‘1년만’ 유학하고 오겠다는 처음 생각과는 달리, 벌써 4년 차 ‘한국 생활자’로 살아가고 있다.
나리카와 아야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품기 쉬운 ‘일본 사람’이라는 선입견을 깨게 하는 사람이다. 그녀는 막걸리와 해장국을 즐겨 먹고, 일산호수공원 산책을 좋아하는 소탈한 ‘한국 생활자’다. 어딘가 도도하고 벽이 있을 것 같다는 지레짐작이 무색하게 다정하고 다감하다. 그러나 그런 면모만 가지고 있는 게 아니다. 그녀는 아사히신문 기자 출신답게 사회 현상의 배경을 꿰뚫어보는 예리한 통찰력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한국어와 일본어, 두 언어로 수려하게 풀어낼 줄 아는 ‘글쟁이’기도 하다.
이 책은 ‘글쟁이’이자 ‘한국 생활자’인 나리카와 아야가 예리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써내려간 중앙일보 칼럼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중앙일보에 ‘나리카와 아야의 서울 산책’과 ‘전 아사히신문 기자의 일본 뚫어보기’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칼럼은 조금이라도 양국 간의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됐다. 그래서 단행본으로 엮으며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고 보충됐어도 그 기저에 흐르는 주제는 여전히 ‘일본인이 바라본 한국과 한국 사람’이다. 한국에 사는 일본인이 한국과 비교하며 일본을 깊이 꿰뚫어보고 있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자 특징은 한국인보다 한국어를 더 잘하는 일본인이 한국어로 직접 쓰고, 또 한국에서 발행하는 책이라는 점이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한·일 관련 보도는 정치와 역사 문제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그 보도에는 실제로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의아하게 여겨지는 부분이 많은 듯하다. 이 책의 저자 나리카와 아야는 자신이 직접 생활하며 느낀, 그러니까 있는 그대로의 한국과 일본의 모습을 담담하고 애정 어린 시선으로 전하려 노력했다.
이 책에는 재일코리안에 관한 이야기도 많은데, 그것은 나리카와 아야가 동국대학 일본학연구소에서 재일코리안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재일코리안 영화제’를 개최하고, 한·일 영화 관계자들을 초청해 직접 대담의 시간을 갖기도 한다. 그녀는 이 일이 무척 보람 있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녀가 일본에 돌아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은 비슷하면서도 참 많이 다른 나라다. 저자가 말하듯 이 책을 선택한 독자 여러분도 그 차이를 즐기면서 읽어주기를 바란다.

“서로의 다름을 알고 그 차이를 즐길 수 있는
우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나리카와 아야

1982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 아름다운 자연에 둘러싸인 시골 고치에서 자랐다. 영화관 집 딸인 엄마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영화 보는 것을 좋아했다. 고베대학 법학부를 졸업했으며, 한일 월드컵이 열린 해에 한국으로 어학연수를 왔다가 한국 영화의 매력에 빠졌다. 오사카대학 대학원에서 통·번역을 전공했으며, 2008년에 아사히신문에 입사했다. 나라, 도야마, 오사카, 도쿄에서 문화부 기자로 활동했다.
임권택, 봉준호, 허진호 등 한국의 영화감독들을 만나 인터뷰하고, 매년 부산국제영화제를 취재하면서 본격적으로 한국 영화를 배우고 싶다는 꿈을 키웠다. 2017년 1월 아사히신문을 퇴사하고, 그해 3월 동국대학 영화영상학과 석사 과정에 입학했다.중앙SUNDAY, 아사히신문GLOBE+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KBS 월드 라디오 일본어 프로그램 〈현해탄의 무지개〉에서 한국 영화와 소설을 소개하고 있다.

출처:교보문고

3. 목차

책머리에_차이를 즐길 수 있는 서로이기를 바라며_005
첫 번째 추천의 글_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는 한 모험가의 고백_010
두 번째 추천의 글_내 좋은 친구의 미래를 응원합니다_014

1부 떡볶이를 먹으며
■‘자이니치’ 그리고 일제강점기 영화_023
■너무 빨리 잊는 한국, 계속 되새기는 일본_027
■영화 〈군함도〉를 보고 알게 된 강제징용의 참상_031
■아름다운 풍경에 감춰진 제주의 아픔_036
■차에 전화번호 남기는 한국, 명함에도 개인 연락처 안 적는 일본_040
■인연이란 결국 기적이다_044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 사람으로 산다는 것_049
■진실은 승리한다는 사실 알려준 ‘현대의 기적’을 그린 영화_053
■낯선 이와도 함께하는 한국의 나눠 먹는 문화_057
■머릿속 지우개, 치매란 무엇일까_062
■한국이나 일본이나 지역 따라 달라요_066
■일본에서도 인기 절정인 윤동주 〈서시〉의 매력_070
■영화 〈1987〉의 한국이 마냥 부러운 이유_074
■딱 며칠만 며느리로 받아줄 한국 사람을 찾습니다_078
■수호랑과 반다비를 아시나요?_082
■따뜻한 우동 한 그릇의 행복을 찾아서_087
■자극적인 한국 영화, 잔잔한 일본 영화_091
■밴드 ‘곱창전골’의 한국 데뷔 20년_095
■그림 같은 미래도시 ‘송도’, 그 풍경 속 불안함_100
■마법 같은 한국의 스펙 사회_105
■누구를 위한 불매 운동일까_110
■일본 사람은 나비 배지를 달면 안 되나_115
■외모지상주의의 나라, 한국에서 살다 보니_120
■동국대학에서의 재일코리안 영화제_125
■‘제멋대로 한국 홍보과’ 활동을 시작하며_129
■가까운 나라끼리 더 가까워지기를_134
■한자를 바라보는 한국과 일본의 시선 차이_139

2부 스시를 먹으며
■아이돌의 차이에서 보는 한국과 일본_147
■한국의 지방에서 일본이 보이네_154
■한·중·일 연결되는 군산은 ‘경계인’ 윤동주와 닮았다_161
■한류의 붐, 〈겨울연가〉에서 〈기생충〉으로_166
■만나지 못한 연인, 윤동주와 이바라기_172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 일본, 그래서 금수저도 전통이 되고_180
■위기는 기회, 자연을 디자인하라_187
■일본의 현재를 알 수 있는 소설 《한자와 나오키》_195
■영화 〈주전장〉이 말하고 싶은 것_202
■〈고독한 미식가〉를 통해 본 한국과 일본의 음식 문화_210
■닮은 듯 다른 매력, 일본에서 시동 건 한국 소설_218
■기록영화 〈도쿄재판〉 그리고 일본의 전쟁 책임_225
■어떻게 하면 내가 나를 잘 편집할 수 있을까_233
■아직도 진행 중인 재일코리안 차별_241
■한국과는 전혀 다른 일본의 미투 운동_248
■일본에서의 K팝 열풍을 보는 또 다른 시선_255
■‘손타쿠’의 유행과 표현의 부자유_262
■시국에 따라 변하지 않는 개인과 개인의 관계_271
■그날의 아픔, 영화로 치유하다_279

출처:본문중에서

4. 책속으로

★추천사

신수원(영화감독, 영화 〈유리정원〉의 감독)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며, 또 프리랜서로 일하며 느낀 고충과 소소한 일상이 녹아든 글은 흥미진진하면서도 대단히 재미있었다. 한국 사람임에도 잘 알지 못하는 한국에 관한 이야기들 앞에선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했다.
이 책은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는 한 일본인의 열정 넘치고 재미있는 고백담이다. 그리고 그 고백은 나리카와 아야라는 사람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가이기 때문에 완성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내가 나를 잘 편집할 수 있을까’라는 글 속에서 했던 말처럼 나는 나리카와 아야, 이 모험가가 자신의 인생을 잘 편집해서 계속 그 이야기를 들려주길 바란다. 

정현목(기자, 중앙 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팀장)

이 책에는 저널리스트로서 한국 사회를 조망하는 아야 씨의 따뜻하고 인간적인 시선이 페이지 곳곳에 담겨 있다. 독자들은 그녀의 애정 어린 관찰자적인 시선에 고개를 끄덕이며 동감하게 될 것이다.
얼어붙은 한·일 관계와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과거사 문제 등으로 한국에서 생활하는 일본인들의 입지가 그 어느 때보다 좁아지고 있다. 또 양국 국민 간의 마음의 거리 또한 전에 없을 정도로 멀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아야 씨 같은 존재가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양국의 ‘가교’가 되려는 그녀의 진정성 있는 노력을 잘 알기 때문이다. 

나는 한국의 동국대학 대학원에서 영화를 공부하는 유학생이지만 한국에 오기 전까지 일본 아사히신문 문화부 기자로 일했다. 기자로 일하던 2016년 2월 〈동주〉를 본 뒤 김인우 씨를 인터뷰하는 게 퇴사 전 목표가 됐다. 2016년 가을 ‘기적적’으로 한국에 출장 올 일이 생겼고, 김인우 씨를 만날 수 있었다. 그 인터뷰 기사가 아사히신문 기자로서 쓴 마지막 기사가 됐다. p.24

제주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처음엔 일본에서 남편과 시부모님이 오면 신나게 관광만을 즐길 생각이었다. 그런데 일정에 제주 4·3 사건 기념지를 더해 좀 엄숙한 제주 돌아보기로 수정했다. 왠지 그래야만 할 것 같았다. p.39

최근 한 한국 학생에게 들은 말이 있다. “인연이란 결국 기적이다.” 어떤 형태든 영화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가교 역할을 하는 데 인생을 걸고 싶다. 꼭 그렇게 되라고 그러는지 기적 같은 일이 한국에 온 뒤 자꾸 일어난다. p.47

‘우리말’을 빼앗긴 적 없는 일본 사람들은 그 아픔을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윤동주 시인에게서 배웠고, 보다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관련 이야기를 여러 번 글로 쓴 바 있다. p.73

회사를 그만두는 것이나 시골에서 사는 것을 권하는 게 아니다. 회사를 다니면서도, 도시에 살면서도 일상을 소중히 하며 살 수 있다. 평창 올림픽 폐회식 말미 어느 방송국 캐스터가 “내일부터는 여러분의 올림픽 같은 일상을 응원하겠다”고 했다. 나는 이제 올림픽 같은 일상은 싫다. 모두가 경쟁하면서 살아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p.90

일본에서 매년 윤동주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는 사실이 한국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다. 많은 일본의 윤동주 팬은 해마다 2월에 만나 27세라는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를 추모한다. 그건 물론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전쟁 책임을 생각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한·일 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혐한을 외치는 일본 사람들이 한국 매체에 등장한다. 하지만 한·일 역사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일본 사람들도 많이 있다는 사실은 별로 소개되지 않아 아쉽다. p.173

일본과 한국은 닮은 듯하지만 살아보면 아주 다르다는 것을 많이 느낀다. 살아보지 않아도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부분도 있다. 내가 문화 교류에 힘을 쏟는 것도 단순히 재미있어서가 아니라 쌍방의 문화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p.199

나도 요즘 “자신이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 적극적으로 어필해야 한다”는 충고를 자주 듣는다. 동기의 이야기를 들으며 프리랜서라고 무시당했다며 억울해할 게 아니라, 내가 나를 잘 편집해서 보여주는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스토리를 어떻게 보여줄지가 관건인 사회니까 말이다. p.240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너무나 많았고 뭘 믿고 보도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현장이었다. 일주일의 취재를 마치고 몸도 마음도 지친 상태로 일본으로 돌아갔다. 눈물도 나오지 않는 나 자신이 놀라웠다. 그런데 1년이 지난 후 지인에게 세월호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눈물이 쏟아져 한참을 울었다. 그때서야 눈물도 안 날 정도로 충격이 컸다는 것을 겨우 알았다. 울고 나니까 조금 마음이 가벼워진 느낌이었다. 사람마다 이야기하고 싶은 타이밍, 울고 싶은 타이밍이 따로 있다는 것을 그때 알았다. p.284

출처:본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