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소개
‘칠층산’ 이야기 다음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는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준다.「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는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한 트라피스트 수사의 자기 성찰과 솔직한 속내로 초대하는 영적 일기로, 겟세마니 수도원에 들어간 지 5년 후 종신서원을 준비하기까지 5년간(1946-1952)의 삶과 영적 여정을 연대기적으로 생생하게 기록한다. 내적 고뇌 속에서 사제요 작가로서 성소의 길을 걸어가는 과정이 순수하고 담백하며 진솔하게 그려져 토머스 머튼의 영적 여정에 함께하도록 초대한다.
「칠층산」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으며, 트라피스트 수사의 삶은 목가적이거나 전례 예식으로 가득 찬 것이 아니라 들에서 손이 부르트도록 일하는 노동까지도 포함하는 고된 삶임을 보여준다. 트라피스트 봉쇄 수도 성소의 길에 따른 내적 고뇌, 작가가 되려는 노력과 선배 사제들의 배려, 자연 속에서 영적 삶을 추구하는 수도자의 일상, 영적 갈등과 투쟁, 자신에 대한 불안과 수도생활에 따르는 어려움과 고독, 가난 ․ 순결 ․ 순명 ․ 정주 서원에 따르는 자기 포기, 하느님과 하나 되는 여정에 따른 굴곡어린 삶, 형제 수사들과의 관계와 나눔, 자연에 대한 사랑을 솔직하게 나누어 더욱 풍요로운 영적 삶을 맛보게 한다.
사회 활동을 떠나 오로지 하느님 안에 머무는 삶을 선택한 수도자의 저술 활동은 늘 만족스럽거나 유쾌한 것은 아니지만 깊은 고요와 고독 속에 머물게 한다. 무엇보다 하느님을 따르는 관상 생활에는 많은 자기포기와 자기희생이 따르는데, 결국 우리 삶은 부활에 이르는 요나의 기적이며 우리는 저마다 역설적인 뱃속에서 각자에게 주어진 운명을 향해 여행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신앙에 관련된 전반 문제를 다루고 있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므로 신앙생활의 근본 자세를 다잡고자 하는 신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출처:본문중에서
2. 저자
저자 토머스 머튼(Thomas Merton)
1915년 프랑스에서 태어났으며 미국 칼럼비아 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스물여섯 살에 켄터키 주 겟세마니 트라피스트 봉쇄 수도원에 들어가 1968년 태국 방콕에서 불의의 사고로 생을 마칠 때까지 수사, 영성작가, 그리고 사회정의 수호자로 살았다.
1948년 「칠층산」을 시작으로 70 여권의 책을 출간하여 20세기 가톨릭 영성작가로 자리잡았으며, 1963년 종교와 관상기도 연구에 대한 기여로 평화상을 비롯해 여러 상을 받았다. 침묵과 고독과 자연 속에서 기도하고 명상하고 관상하며 하느님께 나아간 토머스 머튼의 작품은 30여 개 나라에서 번역되었는데, 국내에도 「칠층산」,「가장 완전한 기도」,「명상이란 무엇인가」,「구원의 빛」,「고독 속의 명상」,「삶과 거룩함」등이 소개되어 영적 멘토로 우리 가운데 남아 있다.
출처:본문중에서
3. 목차
인사말 - 토머스 머튼의 글을 읽으며
추천글 - 모든 것 안에 현존하시는 하느님
프롤로그 - 니네베 여행
첫째 이야기 - 종신서원
둘째 이야기 - 원장 신부의 죽음
셋째 이야기 - 대품
넷째 이야기 - 하느님의 제단으로
다섯째 이야기 - 고래와 아주까리
여섯째 이야기 - 요나의 표징
에필로그 - 화재 감시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 추천사
[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는 머튼이 수도원에서 쓴 개인 일기와 묵상을 모은 것이다. 그의 진솔한 자기 나눔은 그의 모든 것이 그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이며 우리 안에도 있음을 말해 준다. - 오방식 목사(장로회 신학대학교 교수)
우리 마음을 봄비처럼 적셔주는 이 일기는, 침묵은 말이 막히는 것이 아니라 통하는 것이고 하느님과 참된 친교를 나누는 순간이며 동료에 대한 이해와 연민에 이르는 고요한 사막임을 일깨운다. - 장 요세파 수녀(엄률시토회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 수녀원)
내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하는 것, 이 또한 훌륭한 기도임을 깨달았다. "하느님이 지난 주일에 독감을 가져가셨는데 금요일에 다시 돌려주셨다." 이처럼 토머스 머튼은 오로지 하느님을 따르며 하느님 안에서 살았다. - 김원석(아동작가, 아동문학인협회 부회장)
[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는 오직 고독만을 원했고 그 고독 속에서 하느님만 바라보기를 원했으며, 하느님 안으로 완전히 사라지기를 바랐던 영혼의 순례기이다 - 장은명(번역가)
♣ 미디어리뷰
1. 20세기 대표 영성가 머튼 '영적 일기' 국내 첫 출간
"하느님이 내 수도회이며 내 독방이다. 나는 그 안에서 하느님을 뵙고 하느님 안에서 쉴 수 있다."(1947년 1월 14일)
20세기의 대표적 영성가 중 한명으로 꼽히는 토머스 머튼(1915~1968)의 대표작 《영적 일기》(바오로딸)가 그의 사후 41년 만에 오지영 신부(평화방송·평화신문 사장)에 의해 처음 우리말로 번역됐다. 머튼은 천주교 트라피스트 수도회 소속 사제로 53년의 길지 않은 생애 동안 쓴 70여권의 저서를 통해 종교의 벽을 넘어 존경받고 있다.
1946년 말부터 5년간 수도원에서 쓴 일기를 모은 《영적 일기》는 수도자의 일상뿐 아니라 마음의 흐름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청빈·정결·순명(順命)·정주(定住)·행동양식의 변화 등 다섯 가지를 서원하고 입회한 트라피스트 수도회는 적막한 곳이다. 때로는 묵언하기 위해 수화(手話)를 사용하는 곳이다. 머튼은 매일 반복되는 노동과 기도와 묵상의 시간에 순간적으로 마음에 일어나는 변화를 놓치지 않고 포착한다. 풀벌레 소리, 염소와 새끼 양의 울음과 바람·온도의 변화까지 모든 자연현상과 동료 수도자의 죽음까지 묵상의 소재가 된다.
그는 늘 기도한다. "하느님은 내가 하는 모든 일을 사랑으로 보살펴 주신다." 선승(禪僧)이 자나깨나 화두를 놓지 않듯이 머튼은 자신의 삶을 온전히 하느님께 봉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책의 마지막인 1952년 7월 4일 일기에서 그는 "주님이 내 안에 계시고 나는 주님 안에, 주님은 사람들 안에, 사람들은 내 안에 살아있다"고 고백한다.
이번에 함께 출간된 《칠층산》은 머튼이 영적 체험을 겪고 수도회에 입회하기까지의 정신적 여정(旅程)을 유려한 문장에 담은 자서전이다. 세계적 베스트셀러이기도 하다. 지난 1976년 정진석 추기경에 의해 번역된 책을 새단장해 선보였다.
-조선일보 김한수 기자
2. '가톨릭 교회의 빼어난 고전' 「칠층산」의 후속편이 나왔다.
토머스 머튼(1915~68, 트라피스트 봉쇄 수도원) 수사가 수도생활을 시작하며 자신의 내면에 일어난 이야기와 하느님을 따르는 영적 삶을 진솔하게 나눔으로써 시대가 변할수록 더욱 영적인 것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삶에서 가장 소중한 가치란 무엇인지 일깨운다. 「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라는 제목의 책으로, 오지영(평화방송ㆍ평화신문 사장, 서울대교구) 신부가 우리말로 옮겼다.
동양적 심성을 지닌 작가로 평가 받는 머튼 수사는 특히 아시아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20세기 최고의 영성 작가일 뿐 아니라 이 책은 국내에 아직 소개된 적이 없는 머튼 수사의 '수도 체험'이어서 특별히 눈길을 끈다.
깊은 영적 갈망 속에서 주님을 선택한 한 수도자의 내적 고뇌와 번민이 진솔하면서도 흥미진진한 필치로 묘사되고 있어 흥미진진하며 영적으로도 풍요롭게 해준다.
특히 동양 철학과 여러 종교에 관심이 많았던 머튼 수사는 불교와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의 유사성을 발견한 작가여서 이 책은 우리 심성과도 잘 어울릴 듯하다. 대중적 작가인 헨리 나우엔(1932~96)도 따를 수 없으리만큼 신비적이면서도 지적이고 영적인 감각이 갈피갈피에 흘러 넘친다.
'요나의 표징(The Sign of Jonas)'이라는 부제가 달린 이 책의 열쇳말은 '일기'라는 데 있다.
"내가 쓴 최상의 글은 일기 속에 있다"고 머튼 수사 자신이 언급했던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한 트라피스트 수사의 자기성찰과 속내 속으로 초대하는 영적 일기다. 내적 고뇌 속에서 사제이자 작가로서 성소의 길을 걷는 머튼 수사의 영적 여정이 시나브로 펼쳐진다.
「칠층산」 이야기 다음에는 과연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토머스 머튼 수사의 영적 일기」는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준다. 이 책은 겟세마니 수도원에 들어간 지 5년이 지나 종신서원을 준비하기까지 5년(1945~52)간에 걸친 삶과 영적 여정을 연대기적으로 생생하게 기록한다.
이 책을 통해 「칠층산」이 나오기까지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으며, 트라피스트 수사로서 삶이 목가적이거나 전례예식으로만 가득찬 것이 아니라 들에서 손이 부르트도록 일하는 노동까지 포함하는 고된 삶이라는 사실을 전해준다.
트라피스트 봉쇄 수도 성소의 길에 따른 내적 고뇌, 작가가 되려는 노력과 이에 대한 선배 사제들의 배려, 자연 속에서 영적 삶을 추구하는 수도자의 일상, 영적 갈등과 투쟁, 자신에 대한 불안과 수도생활에 따르는 어려움 및 고독, 가난ㆍ순결ㆍ순명ㆍ정주 서원에 따르는 자기 포기, 하느님과 하나되는 여정에 따른 굴곡어린 삶, 형제 수사들과 관계와 나눔, 자연에 대한 사랑을 솔직하게 나눠 더욱 풍요로운 영적 삶을 체험케 해준다.
결국 우리 삶은 부활에 이르는 요나의 기적이며 우리는 저마다 역설적으로 뱃속에서 주어진 운명을 향해 여행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신앙 전반과 관련한 문제를 많이 다뤄 신앙생활의 근본 자세를 다잡고자 하는 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평화신문 오세택 기자
출처: 「토머스 머튼의 영적 일기」 출판사 바오로딸
'2024년 추천도서(24.3~25.2) > 2024-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의 추천도서 (4241) 뷰티풀 마인드 (3) | 2024.10.12 |
---|---|
10월의 추천도서 (4240) 채식주의자 (1) | 2024.10.11 |
10월의 추천도서 (4238) 한국문학사의 두 공간, 세 가지 글쓰기 (4) | 2024.10.09 |
10월의 추천도서 (4237) 광우 스님이 들려주는 기도 가피 이야기 (5) | 2024.10.08 |
10월의 추천도서 (4236)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4 (8)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