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추천 도서(19.3~20.2)

5월의 추천도서(2260) 숲에 산다 - 조상호

'-') 2019. 5. 9. 10:00

1. 책 소개

 

질풍노도의 꿈으로 쓴 세상 가장 큰 책 
지성의 숲, 생명의 숲을 일군 40년의 기록

나남출판 발행인 조상호 회장이 1979년 이래 출판사에서 3,500여 권의 책을 만들고, 수목원에서 나무를 가꾼 40년 질풍노도의 여정을 기록한 책. 
저자는 나남출판사를 창립하고 튼튼한 사상의 저수지를 쌓는 정성으로 원고를 읽고 책을 펴냈다. 세속의 유혹을 견디며 숨 쉴 공간으로 조성한 나남수목원에서 나무를 심고 생명을 가꾸었다. 숲에 살면서 계절의 순환에 호흡을 맞추며 피고 지는 수목들의 숨결을 책 속에 고스란히 담았다. 또한 이 땅에 없는 것을 찾던 뜨거웠던 스무 살 청년의 기억부터 오늘날 나남을 이루어낸 뼈대와 속살까지 들여다보는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특유의 ‘굴곡체’로 쓴 글들을 따라가면, 나무가 책이고 책이 곧 나무인 거대한 숲을 만나게 된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고려대 법과대학 법학과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 박사 
계간 <사회비평> 발행인, 한국언론학회 이사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언론대학원 강사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위원 역임 
현재 (주)나남 대표이사, <지훈상> 상임운영위원, 나남수목원 이사장 

한국방송광고대상 공로상, 한국출판학회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저서:《한국언론과 출판저널리즘》(1999)《언론 의병장의 꿈: 아름다운 사람들과 함께한 나남출판 30년》(2009)《나무심는 마음》(2015)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서문 - 세상 가장 큰 책 5 

제 1 부 
언론 의병장의 꿈을 함께하는 아름다운 사람들을 위하여 23 
꿈꾸는 나무들, 수목원의 탄생 33 
밤나무는 밥나무이다 48 
나무 바로 세우기 54 
그대 다시 고향에 가지 못하리 61 
태양에 맞서는 여름나무꽃들 67 
철원 궁예성터의 천년 고독 75 
최종현 SK 회장의 나무 심는 마음 83 
LG 구본무 회장의 수목장 87 
나무의 얼굴 91 
그래 그래, 백년 자작나무숲에 살자 95 
노각나무의 하얀 꽃그늘 102 
휘청거리는 봄날에 106 
민영빈 선생, 그리고 YBM 112 
시집 장가가는 날 116 
〈토지〉, 그리고 〈반야〉 123 
숲에도 눈이 내린다 127 
비워야 더 크게 채운다 135 
“오메 단풍 들것네” 143 
‘대왕참나무’의 정명법은 ‘손기정참나무’ 혹은 ‘손참나무’이다 151 
역사의 신이 되신 김준엽 총장님 160 
시간은 쌓인다 167 
세상 가장 큰 책, 나오시마에서 175 
한여름 백일의 배롱나무 꽃구름 185 
가로수는 권력이다 193 
나무는 수직으로 자란다 198 
다섯 발톱 용의 승천, 백제금동대향로 206 
히어리 꽃은 노랗다 218 
봄날, 가 보지 않은 길을 간다 228 

제 2 부 
가짜와 진짜 감별법을 위하여 237 
첫 독서, 책에 눈뜰 무렵 246 
글에 눈뜰 무렵 261 
기억의 장소들 275 
작은 기록의 시간들 287 

제 3부 
정주민의 안락을 거부하는현대의 유목민-조상호 형 - 강천석 359 
자연을 사랑하는 나남수목원 조상호 회장 - 염재호 368 
육사 (六士) 선생의 망팔 (望八) - 송호근 374 
속 ‘진짜’考 나남 조상호 회장 - 윤기호 381 
천하를 논한 4천 시간의 대화 - 고승철 390 
출판 外 유혹에 안 빠지려 愚公移山으로 만든 수목원 - 장재선 399 
‘책장수’는 고향 동네 대나무숲을 사무실로 옮겨왔다 - 한윤정 410

출처 : 본문 중에서

 

4. 출판사 서평

 

지성의 열풍지대를 꿈꾸다 
나무처럼 살고 나무처럼 늙겠다는 나남출판 조상호 회장이 특유의 ‘굴곡체’로 40년 출판의 대장정을 직접 기록한 책이다. 
군사독재가 유신의 절정으로 치닫던 1979년, 사상의 자유가 편견 없이 교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 지성의 열풍지대를 꿈꾸며 출판사를 열었다. 튼튼한 사상의 저수지를 쌓는 정성으로 3,500여 권의 책을 세상에 펴냈다. 질풍노도의 꿈을 이루려 내달린 40년 세월이었다. 

생명의 숲에서 흐르는 시간을 기록하다 
세속의 크고 작은 유혹을 견디며 숨 쉴 수 있는 출구로 만든 수목원에서 생명을 가꾼 지 10년이다. 20만 평 나남수목원을 만들어 직접 나무를 심고 가꾸는 저자는 계절의 순환에 호흡을 맞추며 피고 지는 수목들의 숨결을 고스란히 책 속에 담았다. 도시에 살면서 야성을 송두리째 잃은 이들이라도 저자의 숲 이야기에 귀 기울이면 생명의 감각을 되찾을 만하다. 

“땅이 풀리면 봄의 전령사를 자임하는 산수유와 히어리, 생강나무의 노란 꽃이 앞다투어 내는 꽃망울 터지는 소리에 고요했던 산중이 왁자지껄해진다.” (휘청거리는 봄날에) 

“여름의 숲에는 녹색의 향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름나무들의 꽃구경은 이팝나무의 하얀 꽃에서 시작한다. 백일 가까이 피고 지는 붉은 배롱나무의 꽃그늘로 여름은 화려해진다. 귀하다는 노각나무의 하얀 꽃, 연약한 줄기에 흐드러지게 피는 으아리의 흰 꽃이 뒤이어 핀다. 선비목이라는 회화나무가 하얀 꽃을 피워야 여름이 간다.” (태양에 맞서는 여름나무꽃들) 

“이마에 스치는 삽상한 기운이 가을이다. 위대한 여름의 천둥 몇 개씩이나 품었던 열매를 맺고는 내년 봄의 나무건강을 위해서 잎을 떨굴 준비를 하는 빛과 색의 향연이 절정이다. 계곡의 물소리도 한층 맑고 청아하다. … 뒤뜰 장독대에 날아든 붉은 감잎 한 장에 가을이 무르익는다.” (“오메 단풍 들것네”) 

“산들이 하얀 고깔을 썼다.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제국의 통일은 이렇게 하는 것이라고 눈 이불을 덮고 시치미를 떼고 있다. 계곡을 감추고 바위까지 눈으로 덮은 산등성이도 부드러운 곡선을 뽐낸다. 설원(雪原)에 부딪혀 꺾인 햇살이 눈을 찌른다. 애지중지 기르는 자작나무들의 하얀 몸통에 반사된 빛인지도 모른다.” (숲에도 눈이 내린다) 
기억의 장소와 기록의 시간 
기록은 기억의 공간을 채우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저자의 말을 일부러 꺼내지 않더라도, 이 책은 이 땅에 없는 것을 찾던 뜨거웠던 스무 살 청년의 기억부터 오늘날 나남을 이루어낸 뼈대와 속살까지 들여다보는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20대에 톨스토이와 도스토엡스키를 읽던 ‘책에 눈뜰 무렵’, 마치 신심 깊은 종교인이 경전을 대하듯 길돌 차동석의 칼럼을 필사했던 ‘글에 눈뜰 무렵’의 기록에는 한눈팔지 않고 한길만 걸어온 출판인의 DNA를 담았다. 특히, 대학도서관의 힘을 빌려 어렵게 찾아낸 길돌 선생의 글이 영생하기를 기도하며 몇 편을 옮겨 실었다. 
짧은 메모와 사진의 기록들을 희미해진 기억들과 짜맞추며 복원한 ‘기억의 장소’, ‘짧은 기록의 시간들’에는 출판 40년 대장정의 여정을 담았다. 학생운동 주동자가 된 뒤 제적된 최전방 방책선 소총수로 겪은 경험에서 시작한 개인적 회고는 사상의 저수지를 표방했던 출판사를 자유롭게 드나들었던 당대의 작가, 지성인들과 만나면서 문화사적 기록으로 확장된다. 20년 가까이 지훈상(芝薰賞)으로 기리는 조지훈 선생, 삶의 통찰을 준 비화밀교의 이청준 소설가, 토지의 어머니 박경리 선생, 언론출판의 길을 밝혀준 명칼럼니스트 김중배 대기자, 동굴 속의 독백을 웅변으로 승화한 영원한 스승 리영희 선생, 마지막 광복군 김준엽 고려대 총장 등 출판의 길이 아니었다면 만날 수 없었던 이들이 그에게는 ‘북극성’ 그 자체였다. 

세상 가장 큰 책 
조 회장은 《한국언론과 출판저널리즘》, 《언론의병장의 꿈》, 《나무심는 마음》 등의 저서를 내고, 신문 칼럼니스트로도 유명한 작가이기도 하다. 조회장이 발행했던 계간 〈사회비평〉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했던 송호근 교수는 조 회장의 칼럼을 읽고 “사실, 그는 세속적 직함답지 않게 문사(文士)”라며 “독자를 이리도 작아지게 만들어도 되나, 하는 심통을 솟구치게 만든다”는 후기를 전했다. 특유의 농익은 ‘굴곡체’로 쓴 뚝심있는 글들을 따라가면, 나무가 책이고 책이 곧 나무인 거대한 숲을 만나게 된다.

출처 :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