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추천도서(1911) 계초심학인문 - 지눌
1. 책 소개
불교전문강원의 초등과정인 사미과(沙彌科)에서 최초로 배우는 교재이다. 고려 후기에 지눌(知訥)이 조계산에 수선사(修禪社)를 만들고 새로운 선풍(禪風)을 일으켰을 때, 처음 불문에 들어온 사람과 수선사의 기강을 위해서 이 책을 저술하였다.
고려 중기의 불교계는 지나친 국가의 보호 속에서 안일과 사치와 명리에 빠져 승려의 본분을 망각한 폐단이 많았으므로, 이를 크게 걱정한 저자가 수선사의 승려만이라도 수도인답게 생활하게 하고자 지은 것이다.
이 책은 불교의 수행의범(修行儀範)인 율문(律文)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 중 핵심이 되는 부분만을 추린 뒤 우리 나라의 사원생활에 맞게 구성하였다.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초심자를 경계한 것이다. 전체 중 비중을 가장 많이 둔 부분이다. 처음 불문에 들어온 사람은 나쁜 사람을 멀리하고 착한 친구만 가까이해야 하며, 오계·십계 등을 받아서 지키되 범하고 열고 막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것 등, 마음가짐, 몸가짐, 말하는 법, 어른 섬기는 법, 예불하고 참회하는 법, 심지어는 세수하고 밥 먹는 법에 이르기까지 승려생활의 요점을 밝혔다.
둘째는 일반 승려를 경계한 것이다. 승려들이 대화·토론·대인관계·출행(出行)·공양(供養) 때에 갖추어야 할 주의사항 등, 흔히 저질러지고 있는 잘못들과 사원생활의 화합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를 경계하였다.
셋째는 선방에서 수행하는 자들을 경계한 것이다. 교학(敎學)·수면·청법(請法)·정진·발원(發願) 등 잘 지켜지지 않는 율법 몇 가지와 선을 닦는 사람이 경전이나 스승에 대해서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가를 밝히고 있다.
또, 이 책은 1397년 상총(尙聰)이 태조의 명을 받아 전국 사원의 청규(淸規)로 시행하게 됨에 따라 불교 교과목의 필수과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승려는 물론 일반 신도까지 배워야 할 기본서가 되었다.
고간본(古刊本)으로는 1233년의 해인사간행본과 1570년의 강진 무위사간행본(無爲寺刊行本), 현재 해인사 사간장경(寺刊藏經)에 포함되어 있는 연대 미상의 관룡사간행본(觀龍寺刊行本), 1572년의 귀진사간행본(歸眞寺刊行本), 1574년의 구월산 월정사간행본(月精寺刊行本), 1644년의 용복사판본(龍腹寺板本), 1635년의 운주산 용장사간행본(龍藏寺刊行本)이 있고, 언해본으로는 1577년의 조계산 송광사판본과 1583년의 광교산 서봉사개판본(瑞峰寺改版本) 등이 있다.
*
활안 스님의 <誡初心學人文> 강의를 보현 스님이 정리한 책. 고려 때 보조국사가 불교사원청규를 정립하기 위해 쓴 <계초심학인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경편', '독송편', '역문편', '강령편', '해설편'으로 구성하였다. <계초심학인문>은 사미승이 지켜야 할 율의 20가지를 설명한 '사미승청규', 대중처소에서 지켜야 할 도리 8가지를 설명한 '중요승청규', 선방에서 지켜야 할 행위 7가지를 설명한 '사당승청규' 등을 담고 있다.
출처 : 교보문고
2. 목차
머리말 (활안)
서문 (보현)
제1 사경편
제2 독송편
제3 역문편
제4 강령편
제5 해설편
저자 보조국사
책이름 계초심학인문
본문
[1. 서론]
1) 악을 그치고 선행을 닦으라
① 악한 벗을 멀리 여의고
② 어질고 착한 이를 친근히 하라
2) 기본윤리 오계와 십계
① 수계
② 지범개차
3) 신행의 표적
① 오직 부처님의 말씀을 의지하라
② 용렬한 무리들의 망령된 말을 따르지 말라
[2. 본론]
1) 부드러운 마음으로 화합하고 잘 순종하라
2) 위아래 질서를 잘 지켜라
3) 다투는 자가 있으면 화합시켜라
4) 논설 시비하지 말라
5) 재물과 색의 화를 살피라
6) 출입을 경계하다
7) 비밀을 탐색하지 말라
8) 세탁할 때의 주의사항
9) 세수하고 양치질하는 법
10) 분배하는 법
11) 경행법
12) 언어법
13) 출행법)
14) 환자 간호법
15) 손님 접대법
16) 어른 섬기는 법)
17) 도구를 판단할 때
18) 공양의식
① 소리가 나지 않게 하라
② 편안하게 조심해서 하라
③ 낯을 들어 돌아보지 말라
④ 가려 먹지 말라
⑤ 조용히
⑥ 잡된 생각을 하지 말라
⑦ 공양의 참뜻
19) 예불하는 법
① 게으름 없이 부지런히 하라
② 대중이 행하는 절차
③ 찬패축원
20) 참회법
①죄장이 산과 바다와 같은 줄 알라
② 이참사참
③ 절은 참 마음으로
④ 영향상종
[2. 중요승청규]
1) 서로서로 보호하라
2) 쟁론승부
3) 한화주의
4) 신을 잘 신으라
5) 차서를 넘지 말라
6) 손님을 대하여 말하는 법
① 불사만 찬탄하라
② 의혹심을 내지 않게 하라
7) 유행법
① 주현에 놀러나가지 말라
② 속인과 사교하지 말라
8) 출행법
① 바른 생각을 굳게 가지라
② 삿되게 놀아나지 말라
③ 비시식
④ 지혜롭게 행동하라
[3. 사당승청규]
1) 사미와 함께 하지 말라
2) 인사 차례를 주의하라
3) 좋고 나쁜점 보지 말라
4) 문자를 조심하라
5) 수면을 과도하게 하지 말라
6) 반연을 쉬라
7) 법문 듣는 방법
① 현애상과 관문상
② 생각을 비우고 들으라
③ 우지학
8) 법사를 존경하라
① 법주를 업신여기지 말라
② 논증
③ 법문 듣는 자세
[4. 결론]
1) 바른 믿음에서 물러나지 말라
① 바른 믿음으로 도를 삼으라
② 번뇌습기
③ 가행방편
④ 천선개회
⑤ 관력연마
⑥ 난조지상과 경행지심
2) 각행원만
① 인격완성
② 광도중생
③ 절수면지
출처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