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1825 1기(13.3~18.2)

11월의 추천도서(1735) 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 - 최태영

'-') 2017. 11. 30. 10:00



1. 책 소개


실존인물 단군이 반만 년 전에 고조선을 개국하여 현재 중국의 요동을 중심으로 크게 활약한 선진 광역국가였음을 역사자료에 의하여 밝히고, 당시 후진국이었던 일본은, 오랜 역사오 함께 선진국이었던 한국의 영향을 받은 바 크다는 것을 확인하려는데 있다.한국과 일본과의 관계를 밝임에 있어서 그 기원은 일찍이 고조선 말기의 민족이동과 관련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필자는 서두를 시작한다.


2. 목차


1.단군과 고조선 

1)고대사 연구의 문제점---11 
2)단군 이전-환국 신시시대---15 
3)단군의 개국---19 
4)고조선의 중심지 요동---26 
5)단군조선의 흥망---30 
6)동이족과 공자---39 
7)기자조선의 허구---46 
8)개기종야-한사군---49 
9)조선사편수회와 단군---54 
10)단군을 위하여---61 
11)내가 만난 정인보---70 

2.건국이념의 맥-단군에서 고려초까지 

1)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단군의 홍익인간---77 
2)광개토대왕비와 고구려 건국이념의 구현---80 
3)진흥왕순수비의 신라 건국이념---87 
4)조의국선과 화랑도---84 
5)문무왕 유조에 나타난 통일신라 건국이념---87 
6)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통일 전까지의 지도이념---91 
7)발래의 융성과 고문자 연구---75 

3.상고 이래의 법습 

1)고조선의 금법팔조 외---105 
2)부여의 책임정치---107 
3)예맥과 옥저, 동예 및 삼한---110 
4)삼국, 고려, 근조선---113 
5)마을규범, 두레와 품앗이, 동제 및 향약---115 

4.한국의 전통사상 

1)제천---125 
2)조상숭배-효와 충---128 
3)현묘지도-풍류---130 
4)무교의 퇴화---135 
5)유학의 전래---147 
6)호굴불료의 성행과 원효사상---150 
7)실학사상과 개화주의의 연결---162 

5.고대 한일관계사 

1)일본국의 시원 한국---181 
2)'정한론'의 실체---198 

6.일본 속의 한국 불교 

1)최초의 전법과 불교의 수용---207 
2)소가 가문과 도일 한인의 조직화---210 
3)백제인이 세운 아스카 불교문화---214 
4)백제천변의 백제대사와 백제궁---222 
5)망명한인 대집단-일본국 건설과 문화에 대공헌---225 
6)백제인의 씨사 강사와 백제왕신사---235 
7)원효,의사의 '화엄연기'---238 
8)일본의 원효사상 연구---241 
9)동대사와 행기---247 
10)고구려인의 무사시노---250 


정리를 마치고-법학과 역사의 지성---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