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추천도서(2797) 한국의 금관
1. 책소개
금관의 기원을 따라감으로 보는 진짜 우리 금관이야기
본서는 현존하는 삼국시대 금관(고구려 1점, 신라 6점, 가야 2점)을 고고학적 분석을 통하여 금관의 상징과 기원, 제작기법, 용도 등을 밝혀낸 최초의 학술서이다.
고구려와 백제는 영원불멸의 불꽃을 상징한 금관을 사용하였고 신라와 가야는 삼라만상의 왕인 용의 뿔을 형상화한 금관을 사용하여 그동안 제기되었던 신라금관의 중앙아시아 스키타이 기원설의 모순을 밝혀내고 우리나라 금관 기원의 자체 발생설을 주장한다.
출처:교보문고
2. 저자
저자 : 김대환
〈경력 및 이력〉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두양문화재단 이사, 문화재평론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문화재보존학을 전공하였으며 지난 40년간 국내외 발굴현장과 유적지를 답사하며 문화재를 연구하였다. 지난 15년간 대학교박물관과 국공립박물관에 신라금동불상, 고려청동탑, 고려청자, 고려도기, 조선백자, 고려와전, 벼루, 출토복식 등 5,000여점의 유물을 무상기증 하였다.
〈주요저서와 논문〉
2017년, 『박물관에선 볼 수 없는 문화재 2』, 경인문화사.
2014년, 『박물관에선 볼 수 없는 문화재』, 경인문화사.
2015년~2018년, 「김대환의 문향」, 문화재 칼럼, 교수신문사.
2016년, 「고구려 ‘태화9년명 비천문 금동광배’의 신례」, 호불 정영호박사 팔순송축기념논총, 학연문화사.
2014년, 「삼국시대 금관의 재조명」, 동아세아 역사문화논총, 서경문화사.
2004년, 「삼국시대 도침연구-고구려 명문도침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제71호, 백산학회, 백산문화.
1997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고구려 청동삼족정에 대한 소고」, 고구려연구3집,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등
출처:교보문고
3. 목차
머리말
Ⅰ. 고대 세계의 금관
1. 메소포타미아, 히타이트, 아시리아 금관
2. 이집트 금관
3. 스키타이 금관
4. 그리스와 로마 금관
5. 페르시아, 인도, 아메리카의 금관
6. 동아시아의 금관
Ⅱ. 고대 한국의 금관
1. 고구려 금관
1) 평양 청암리 출토 불꽃무늬금동관
2) 고구려 금동관 자료
3) 전 평안남도 강서군 간성리 출토
불꽃무늬금관
4) 발해 금관
2. 백제 금관
3. 신라 금관
1) 신라 금관의 구성(세움 장식, 곡옥장식, 달개 장식, 내관 장식)
(1) 금관의 세움 장식
(2) 곡옥 장식
(3) 금관에 달린 달개 장식
(4) 신라 금관의 내관 장식
2) 신라 금관의 변천 및 용도
3) 신라 금관의 종류
(1) 호림금관
(2) 교동금관
(3) 황남대총금관(국보 제191호)
(4) 이사지왕(금관총)금관(국보 제87호)
(5) 서봉총금관(보물 제339호)
(6) 금령총금관(보물 제338호)
(7) 천마총금관(국보 제188호)
4. 가야 금관
1) 전 고령 출토 금관(국보 제138호)
2) 오구라 기증 금관
3)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보물 제1922호)
4) 고령 지산동 출토 금동관(보물 제2018호)
출처:본문중에서
4. 출판사서평
금관의 기원을 따라감으로 보는 진짜 우리 금관이야기
본서는 현존하는 삼국시대 금관(고구려 1점, 신라 6점, 가야 2점)을 고고학적 분석을 통하여 금관의 상징과 기원, 제작기법, 용도 등을 밝혀낸 최초의 학술서이다.
고구려와 백제는 영원불멸의 불꽃을 상징한 금관을 사용하였고 신라와 가야는 삼라만상의 왕인 용의 뿔을 형상화한 금관을 사용하여 그동안 제기되었던 신라금관의 중앙아시아 스키타이 기원설의 모순을 밝혀내고 우리나라 금관 기원의 자체 발생설을 주장한다.
출처:경인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