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추천도서(2425) 문맹 - 아고타 크리스토프
1. 책소개
읽기와 쓰기에 대한 고뇌와 갈망이 담긴 언어의 자서전!
소설가 백수린의 번역으로 만나는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소설 『문맹』. 1935년 헝가리의 한 시골마을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대전의 전시를 지나며 자신의 모국이 독일과 소련에 의해 차례로 침략 받는 것을 목격했고, 여러 언어들이 교차하는 국경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저자의 언어적 정체성을 다룬 자전적 소설이다.
저자는 이 작품에서 모국어인 헝가리어와 함께 빼앗기듯 잃어버렸던 친밀했던 기억을 열한 개의 장으로 되살리며 20세기의 역사를 감내해야 했던 여자이자 이방인으로서 결코 침몰하지 않았던 의지와 용기를 꺼내 보여준다. 문맹을 벗어나고자 어떻게 끈질기게 글을 써왔는지를 보여주지만, 또한 자신이 영원히 문맹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는 것도 분명하게 이야기한다.
출처 : 교보문고
2. 저자
저자 아고타 크리스토프(Agota Kristof)는 스위스에 거주하면서 프랑스어로 글을 썼던 헝가리 출신의 소설가. 1935년 10월 헝가리의 시골마을인 치크반드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빈곤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1956년 헝가리 혁명의 여파를 피해 남편과 4개월 된 딸을 데리고 헝가리를 떠나 오스트리아를 거쳐 스위스의 뇌샤텔로 이주한다. 생계를 위해 시계 공장에서 일하면서도 《헝가리 문예》에 시를 발표하고, 프랑스어를 배우며 희곡과 소설을 써나간다. 1987년 첫 번째 소설인 《비밀 노트》를 출간하고, 5년에 걸쳐 《타인의 증거》와 《50년 만의 고독》을 완성한다. 이 3부작은 40여 개 언어로 번역되며 큰 성공을 거둔다(한국에서는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이라는 제목으로 소개). 이후 여러 편의 소설과 희곡 작품을 출간하며 1992년 리브르 앵테르상, 2001년 고트프리트 켈러상, 2005년 쉴러상, 2008년 오스트리아 유럽 문학상, 2011년 코슈트상 등을 수상한다. 2011년 7월 뇌샤텔에서 일흔다섯 살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출처 : 교보문고
3. 목차
시작
말에서 글쓰기로
시
어릿광대짓
모국어와 적어(敵語)
스탈린의 죽음
기억
제자리에 있지 않는 사람들
사막
우리는 어떻게 작가가 되는가?
문맹
옮긴이의 말
출처 : 본문 중에서
4. 책속으로
“우리는 숲을 걷는다. 오랫동안. 너무 오랫동안. 나뭇가지들이 우리의 얼굴을 할퀴고, 우리는 구멍에 빠지고, 낙엽이 우리 신발을 적시고, 우리는 뿌리에 걸려 발목을 접질린다. 휴대용 램프를 켜봤자 그것은 조그만 동그라미만큼을 밝힐 뿐, 나무들, 여전히 계속되는 나무들. 그렇지만 우리는 벌써 숲에서 빠져나왔어야 한다. 우리는 계속 같은 곳을 맴도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_70쪽
“나는 5시 반에 일어난다. 아기를 먹이고 옷을 입히고, 나 역시 옷을 입고 공장까지 나를 데려다주는 6시 반 버스를 타러 간다. 나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공장에 들어간다. 공장에서는 저녁 5시에 나온다. 나는 어린이집에서 딸아이를 찾고, 버스를 다시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 마을의 작은 가게에서 장을 보고, 불을 피우고(아파트에는 중앙난방이 들어오지 않는다), 저녁 식사를 준비하고, 아이를 재우고, 설거지를 하고, 글을 조금 쓰고, 나 역시 잠을 잔다.” _87~88쪽
“우리는 작가가 된다. 우리가 쓰는 것에 대한 믿음을 결코 잃지 않은 채, 끈질기고 고집스럽게 쓰면서.” _103페이지
출처 : 본문 중에서
5. 출판사서평
《문맹》은 인간사회의 불확실성과 부조리함을 지독히 담담하고 건조한 문장으로 그려냄으로써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 소설가 김연수, 은희경, 정이현, 작가 이동진을 비롯한 수많은 명사들의 존경을 받는 헝가리 출신의 여성 작가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언어적 정체성을 다룬 자전적 이야기다. 현대 프랑스어권 문학의 고전이자 40여 개 언어로 번역되며 ‘조용한 베스트셀러’라고 불린 3부작 소설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이후 약 12년 뒤 2004년 스위스의 출판사 에서 출간했다.
네 살 때부터 글을 읽기 시작해 병적일 만큼 독서와 이야기에 빠져들었던 어린 시절부터, 스위스로 망명해 모국어를 잃고 ‘문맹’이 되어야 했던 시절, 그리고 다시 프랑스어를 배워 첫 소설이자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의 1부인 〈비밀 노트〉를 쓰기까지의 그녀의 반생이 기록되어 있다. 《문맹》은 모국어인 헝가리어를 ‘살해’하고 헝가리인으로서의 정체성까지 위협해오던 ‘프랑스어’라는 ‘적어(敵語)’를 배워야 했던 시간에 대한 조용한 싸움의 기록이자,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의 가혹하면서 잔혹한 정경과 스스로를 호되게 단련하며 도덕성이 존재하지 않는 소년들의 모습의 소설적 원류를 확인할 수 있는 창작의 기록이며, ‘읽기’와 ‘쓰기’에 대한 고뇌와 갈망이 담긴 ‘언어의 자서전’이다.
《문맹》을 통해 그녀는 모국어인 헝가리어와 함께 빼앗기듯 잃어버렸던 친밀했던 기억을 열한 개의 장으로 되살리며, 20세기의 역사를 감내해야 했던 ‘여자’이자 ‘이방인’으로서 결코 침몰하지 않았던 의지와 용기를 꺼내 보여준다. 소설가 백수린의 번역으로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된다.
출처 : 한겨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