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추천 도서(20.3~21.2) 썸네일형 리스트형 9월의 추천도서(2760) 한국 근대 척독서 연구 1. 책소개 근대 대중이 그토록 욕망했던 한문 서간 쓰는 법, 당대 베스트셀러였던 ‘척독서’를 통해 시대상을 읽는다 척독(尺牘)이란 1척 즉 ‘한 자[尺]’의 종이에 쓰는 짧은 ‘편지[牘]’라는 뜻으로, 이 책에서 다루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대량 출판된 ‘척독서(尺牘書)’는 한문으로 간단한 편지를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문 서간 교본’을 말한다. 저자는 1800년대 말에서 1950년대까지 출판되었던 척독서들을 10여 년 동안 조사, 연구하여 당대 대중의 욕망이었던 척독서가 언제 왜 출간되기 시작했으며, 시대를 거치면서 어떻게 진화했는지, 그리고 그 책들에 담긴 문화사적 의미를 분석한다. “근대 척독서는 형식적이고 상투적인 문구들이 담겨 있는 책이지만, 이 책을 사 보는 사람들에게 소통의 도구, 사회..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759) 산의 역사 1. 책소개 산은 어떻게 지구를 움직이고, 인류의 삶을 구원했는가 위대한 지리학자이자 사상가 자크 엘리제 르클뤼(Jacques-lise Reclus, 1830~1905)는 1871년 나폴레옹 3세의 폭압적 군주제에 반대해 일어났던 파리 코뮌 민중혁명운동에 참여했다. 그 이유로 온갖 탄압을 받던 엘리제 르클뤼는 알프스 산이 올려다보이는 스위스 산골짜기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이 책을 집필했다. 그는 지리에 비중을 두면서도 산이 인간과 함께 겪어온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며 자연의 중심에 우뚝 선 산을 이해하고자 했다. 자신의 소년기를 보냈던 피레네 산자락부터 프랑스 중부의 고원, 독일, 스페인 북부와 스위스의 산악을 두루 답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삼았고, “산을 오르내릴 때마다 기억에 새겨진 그림들을” 시적인 글..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758) 소유와 자유 1.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소유권에 대한 보장과 개인의 자유 사이에는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소유와 자유〉의 출발점이다. 즉, 자유가 없어도 어떤 형태로든 소유는 존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상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리처드 파이프스는 1999년에 출간한 〈소유와 자유〉를 통해 인류 역사의 기록을 거슬러 올라가 소유와 정치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경제와 정치라는 두 주요 세력 간의 관계는 역사적 사례를 통해 명쾌하게 증명된다. 특히 사유재산제도가 발달했던 영국은 자유롭고 발전된 사회를 이루었지만, 사유재산제도가 없었던 러시아는 자유가 발달하지 못했으며, 그 결과 전제정권이 장기간 통치했다. 이 책을 통해 소유의 존재와 부재가 자유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한다면, ..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757) 셸리 산문집 1. 책소개 셸리는 바이런, 키츠와 더불어 영국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3대 시인. “겨울이 오면 봄이 어찌 멀리 있겠는가.” 그의 유명한 시구처럼 그는 높은 이상 속에 인류의 진보를 믿으며 사회 변혁을 꿈꾸었다. 가장 순수하면서도 가장 정치적이었던 시인, 서른도 채 되기 전에 요절한 생애만큼이나 창작과 실천적 활동에서 천재성과 열정을 불태웠다. 타고난 반항 정신으로 권위와 압제, 불의와 억압에 맞서 싸우는 데 평생을 바쳤다. 이 책은 셸리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적 바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문들을 엄선하여 번역한 것이다. 낭만주의의 서정만을 단순히 노래한 시인이 아니라 선구적인 ‘사회개혁 사상가’로서 간과해왔던 셸리의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다. 탁월한 번역가 김석희가 200년 전 천재 시인 셸리의 비상한 문.. 더보기 9월의 추천도서(2756) 조선가 1. 책소개 국어학계의 혁신적 연구자 정광 교수가 풀어낸 국내 최초 〈조선가〉 연구서 피랍 조선인의 삶을 통해 조망하는 새로운 한일 관계사 ‘도자기전쟁’이라 불린 임진왜란에서 잡혀간 조선 도공들의 잊혔던 역사를 생생히 되살려낸 획기적 연구서. 〈조선가〉는 피랍 조선 도공들이 가고시마 지방에 정착해 대를 이어 불렀던 망향의 노래다. 국어학계의 원로 정광 교수가 탁월한 언어학적 조예를 바탕으로 〈조선가〉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심도 있게 논의한다. 국내 최초로 〈조선가〉를 현대 우리말로 완역해 올바른 풀이를 달고, 한일 양국의 사료를 빠짐없이 분석, 피랍 조선 도공들의 기록을 낱낱이 복원했다. 일본의 도자기 문화를 융성케 한 조선 도공들이 일본 사회에 미친 문화경제적 영향력을 따져보고, 나아가 발전적인 한일.. 더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