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년 추천 도서(18.3~19.2)

7월의 추천도서(1952) 골목길 근대사 - 최석호 , 박종인, 이길용


1. 책 소개


격동의 근대사와 문화사가 살아 있는 골목길을 걷다

『골목길 근대사』는 급변하는 현대에 점점 희박해지는 역사 인식을 일깨워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되찾아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 공감한 저자들이 의기투합하여 ‘역사산책’이라는 콘셉트로 기획한 책이다. 그러나 자칫 무거운 역사지식으로 치우칠 것을 우려하여 자유여행과 역사해설의 중간쯤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다. 

무력하게 국권을 침탈당한 대한민국 심장부의 아픔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정동, 일본 제국주의자들과 한 마을에서 사느니 차라리 등지고 살면서 힘든 시절을 견디어낸 동촌, 피난민과 원주민이 윗동네와 아랫동네에 더불어 사는 개항장 부산. 저자들은 골목골목 이 땅에 서려 있는 우리 역사를 걸으며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그리고 나를 되찾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출처 : 교보문


2. 저자


저자 최석호는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여가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에서 문화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소장으로서 세계화·문명화과정·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UN 여가 관련 자문을 맡고 있는 World Leisure Organization의 학술지 《World Leisure Journal》 국제편집위원, 중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World Hotel Association 부회장, 한국관광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으며,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레저경영전문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및 공저서로는 《중국인이 몰려온다!》 (2012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한국사회와 한국여가》 등이 있다.



저자 박종인은 조선일보 여행전문기자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 현대사진학과를 나왔다. 1992년 신문사에 입사해 사회부에서 검찰과 법원을 맡았고 1995년부터 스포츠레저부에서 여행을 담당했다. 2007년부터는 크로스미디어 다큐멘터리 ‘천국의 국경을 넘다’ 팀장으로 일해 2009년 삼성언론상을 받았다. 2010년 엔터테인먼트부장, 2011년 TV조선 준비위원, 2012년 TV조선 문화부장을 거쳐 2013년 조선일보로 돌아와 여행전문기자로 일하고 있다. 주로 낯선 길에서 만난 사람들이 가르쳐준 철학을 글과 사진으로 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고집쟁이들》,《행복한 고집쟁이들》, 《세상의 길 위에서 내가 만난 노자》, 《나마스떼》 등이 있다.



저자 이길용은 서강대학교에서 종교학을 공부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에서 종교학, 철학, 사회학 등을 공부한 뒤 종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근대문화사상연구소, 문화콘텐츠개발연구소 ‘Snake4’ 등에서 공동대표로 활동하였고, 동학학회와 한국종교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으며,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에바 오디세이》 , 《뇌과학과 종교연구》 , 《고대 팔레스타인의 종교세계》, 《종교학의 이해》 등이 있다.

출처 : 교보문


3. 목차


들어가는 글 내가 걷는 그 길에 근대사가 있다 
뿌리 깊은 나무 
오랑캐 조선 침략 
진경시대 

1장 정동 산책 
노천 역사박물관 정동 
이방인, 거목, 거부 그리고 사랑 짓는 사람, 정동 사람들 
정동의 이방인 ? 아펜젤러와 스크랜튼 
거목(巨木) 김구와 거부(巨富) 김창학 
'광화문 연가'의 이영훈 
역사와 문화가 살아 있는 길, 정동 산책 
을사늑약의 현장, 중명전 
아관파천, 러시아공사관 
최초의 근대 사학 - 배재학당과 이화학당 
최초의 개신교 교회 - 정동교회 
70년 대역사 -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문화 향기 한 모금 - 서울시립미술관 
제자리는 어디로 - 서울역사박물관과 경희궁 터, 흥화문 
지금 여기 - 정동극장과 경향아트힐 

2장 서촌 산책 
군더더기 없이 담백한 마을 서촌 
조선시대 한류주도자, 서촌 사람들 
조선중화주의 - 삼연 김창흡 
진경시대를 연 겸재와 사천 
한국 사람을 찾아 걷는 길, 서촌 산책 
하얀 하늘, 파란 바람, 그리고 그리운 나 ? 윤동주문학관 
물소리의 추억 - 수성동계곡 
봄바람 피우는 집 - 서촌재 
다시 찾은 우리 얼 ? 박노수미술관 
푸른 마음 밭 ? 청연산방 
세상의 중심에서 매국노의 아방궁으로 ? 송석원 

3장 동산 산책 
힘든 시절 살아 견디어낸 곳 동산 
나라 잃은 개화파 동산 사람들 
물처럼 흘러서 맘껏 푸르른 간송 전형필 
절필 낙향하여 모진 세상 견디어낸 상허 이태준 
대한민국을 찾아 걷는 길, 동산 산책 
포목시장을 열어 나라를 지키다 - 동대문시장 
내 이름은 경성운동장, 서울운동장, 동대문운동장 
탈근대로 다시 태어난 전통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문화보국 보화각 - 간송미술관 
동산에서 본 동서울 - 창신동 
정겨운 우리 동네 - 이화동 
편안한 낙타 등허리 - 낙산공원 
다시 찾은 조선집 - 수연산방 

4장 목포 산책 
자주적 개항장 목포 
한 많은 삶 흥으로 이겨낸 사람, 목포 사람들 
소리하는 비즈니스맨 - 성옥 이훈동 회장 
햇살 가득한 예술길 목포 개항장 산책 
님 그려 우는 마음 - 유달산 
전쟁과 수탈 - 목포근대역사관 
햇볕 따뜻한 언덕 마을 - 다순구미 
조선 문인화의 보물창고 - 성옥기념관 
백제 별서정원 - 이훈동가 정원 
만호진을 폐하고 목포를 개항하라 - 목포진과 영신여관 
언 땅에 햇볕을 비추다 -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5장 부산 산책 
전통적인 국제도시 부산 
속정 깊고 선량한 부산 시민 
바보 장기려 박사 
더불어 사는 지혜와 소통의 맛 길 부산 개항장 산책 
국제도시 부산 ? 청관거리와 왜관거리 
엽기적인 그 병원 ? 백제병원 
애국과 신앙은 하나 - 초량교회 
산동네 인터넷 - 168계단 
부산 해양경관 조망 공간 ? 역사의 디오라마 
바다 위 신도시와 가파른 산동네를 잇는 계단 - 40계단 
나는 부산이로소이다 - 부산근대역사관 
바다 내음보다 더 진한 책 내음 - 보수동 헌책방골목 
도떼기시장 - 국제시장 
깡통시장 ? 부평동시장 
부산 명물 ? 자갈치시장 

6장 증도 산책 
천사의 섬, 신안군 증도 
사랑으로 용서하는 증도 사람들 
사랑의 씨암탉 - 문준경 
한국대학생선교회 설립자 - 김준곤 
천사와 함께 걷는 길, 증도 산책 
마지막이 된 두 번째 사랑 - 증동리교회 
섬 사람과 민족을 위한 사랑 - 문준경길 
그 사랑 내 곁에 - 순교기념관 
이 세상을 다녀간 이유 - 순교지 
치유받는 사랑 - 짱뚱어다리와 철학의 길 

마치는 글 
나는 역사를 걷는다 
조선 사람, 청나라를 걷다 
한국 사람, 역사를 걷다 

미주 
참고문헌

출처 : 본문 중에서


4. 추천사



유진룡(전 문화부장관, 국민대 석좌교수)

보는 만큼 알고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은 여행을 하면서 실감하게 됩니다. 저는 '역사산책'이 돌아다니는 행위보다는 사유하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여행전문가들이 현장을 누비며, 자연과 사람과 역사를 엮어서 만든 이 책이 여행하면서 사유하고 그 지역을 사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 믿습니다.

윤은기(전 중앙공무원교육원장)
우리 역사가 '이야기'와 '사람'으로 남아 있는 인문학적 공간, 그 골목들을 걸으며 저마다의 아름다움과 아픔을 느낍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세상을 깨닫게 되죠. 길 위에서 만나는 근대사는 역사적 통찰력과 더불어 나를 되찾는 여행이 됩니다.
출처 : 교보문


5. 출판사 서평

골목길에서 만나는 근대사는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까? 
보고 듣고 느끼고 만지며 역사를 산책하다
 
매년 추위가 채 가시기 전 2월 8일이면 광화문 네거리에는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노래가 흘러나와 연인들의 가슴을 적신다. 이문세 씨가 부른 명곡 ‘광화문 연가’다. 

이제 모두 세월 따라 흔적도 없이 변하였지만 / 덕수궁 돌담길엔 아직 남아 있어요 
다정히 걸어가는 연인들 / 언젠가는 우리 모두 세월을 따라 떠나가지만 
언덕 밑 정동길엔 아직 남아있어요 / 눈 덮인 조그만 교회당…… 

조선을 세운 이성계의 둘째 부인 신덕황후의 정릉이 있던 곳을 후세 사람들이 정동이라 불렀다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조선왕조 600년 도읍지의 권력 중심부로 영욕의 시간을 지나온 정동은 특히,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버텨낸 격동하는 근대사의 주역이자 현장이었다. 나라를 넘겨준 ‘을사늑약’ 조약을 체결한 ‘중명전’, 임금이 왕궁을 버리고 남의 나라 공사관으로 도망친 ‘아관파천’의 현장 러시아공사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으로 해방 후 안두희의 총탄을 맞아 비명에 가신 김구 선생의 ‘경교장’, 그리고 구한말 우리 역사의 또 다른 주역 외국 선교사와 외교관들의 주 무대가 펼쳐진 곳이기도 했다. 
이처럼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다정히 걷고 있는 연인들의 눈앞에, 아름다운 노래가 흘러나오는 정동교회 바로 옆 카페에, 서대문에서 광화문에 이어진 빌딩 숲 사이에, 정동에는 역사의 영광, 분노, 좌절, 그리고 새로운 창조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는 걸 《골목길 근대사》의 저자들은 제법 진지하게 안내하고 있다. 늘 지나다니던 길, 이제 저자들의 안내를 따라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보는 역사산책을 해보자. 역사가 무겁다면 매년 2월에는 한번쯤 덕수궁 돌담길이 끝나고 미국 대사관저가 시작되는 분수대 사거리 오른쪽 노점상에 둘러싸여 있는 비석 앞에서 ‘광화문 연가’를 들어보는 건 어떨까? 그 비석이 바로 48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 작곡가 겸 작사가 이영훈을 기리는 작은 청동 기념비다. 

격동하는 근대사의 현장 정동, 조선중화의 아픔이 서린 서촌, 
일제의 모진 세월을 견뎌낸 동산, 조선 최초 자주적 개항 목포, 
더블어사는 지혜를 품은 국제도시 부산, 치유와 사랑의 섬 신안 증도까지 역사를 걷다
 
《골목길 근대사》는 급변하는 현대에 점점 희박해지는 역사 인식을 일깨워 대한민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되찾아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 공감한 최석호, 박종인, 이길용 세 사람이 의기투합하여 기획되고 집필되었다. 이들은 ‘역사산책’이라는 콘셉트가 자칫 무거운 역사지식 전달에 치우쳐 산책이 주는 재미를 놓칠 것을 우려해 수위를 조절하는 데 애를 썼다. 자유여행과 역사해설의 중간쯤, 역사를 만나 사유하고 걸으며 ‘나’에게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에 충실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므로 독자는 골목골목 이 땅에 서려 있는 우리 역사를 걸으며 그 역사현장에서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어떻게 나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무력하게 국권을 침탈당한 근대사의 아픔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정동,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드높인 조선중화가 일제의 앞잡이에 의해 무참히 짓밟힌 서촌, 그리고 나라 잃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힘든 시절을 살아 견디어내고 마침내 되찾은 나라에서 문화보국을 위해 힘쓴 동산, 한 많은 민초들의 삶을 흥과 예로 승화해낸 개항장 목포의 눈물, 청관거리, 왜관거리의 전통이 남아 피난민과 함께 더불어 사는 지혜를 품은 국제도시 부산의 개항장, 사랑으로 용서함으로써 동족상잔의 비극을 신앙심으로 이겨낸 천사의 섬 신안 증도까지 저자들의 발길은 우리 근대사의 아픔과 진실을 전하는 역사와 사람 이야기를 담아내기 위해 잰걸음을 걸었다. 우리는 순서에 구애됨이 없이 이 책에 소개된 어느 골목길을 가든 거기에서 만나는 역사와 반갑게 조우할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던가? 이제 ‘걷는 만큼 보인다’.
출처 : 시루